티스토리 뷰

 

[ 프로토타입 작성 시 고려 사항 ]

📍암기 : 계범 목기 산유

구분 고려사항
프로토타입 획 작성 - 일반적으로 프로토타입 작성은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과 실행 후 결과를 보고하는 프로세스로 진행
- 프로토타입 계획을 세울 댸 고려할 부분과 결과서를 작성할 때 고려할 부분을 고려
프로토타입 위 확인 - 프로토타입의 범위는 프로젝트의 범위나 리스크 상황 등의 주변 여건을 감안해서 정해야 함
- 목적을 명확히 하고 그 목적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었는지 확인
프로토타입 표 확인 - 사전에 프로토타입을 통해서 얻고자 하는 목표를 명확하게 설정
- 기능, 성능, 개발 환경 중 어느 것에 관련된 것인지 고객과 협의한 후 진행
프로토타입 간 및 비용 확인 프로토타입에 투입되는 기간 및 비용은 최소화하여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계획
프로토타입 출물 확인 - 프로토타입에서 나오는 산출물은 실제 개발에 그대로 참조될 수 있는 수준이 되어야 함
- 프로토타입을 통해 개발된 UI는 실제 기능 요구사항을 가지고 개발되었다 하더라도 아키텍처 요소 검증을 위한 것이므로 실제 개발에서는 참조로만 활용
프로토타입 의사항 확인 - 프로토타입은 작은 범위와 적은 인원을 가지고 최소 기간 내에 위험요소를 식별하고 해결하는 것이 중요
- 가급적 프로토타입에 투입되는  기간 및 비용을 최소화하여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계획
- 검증할 범위를 너무 넓게 잡거나 기간을 많이 잡으면 원하는 목쵸가 너무 커져서 오히려 문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주의

 

 

출처 : 수제비 정보처리기사 실기 - 두음쌤 (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8QyS3w-wI1I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