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🤔 겉보기에는 길이 4인데, 실제로는 2?
다음과 같은 배열을 봤을 때, 얼핏 보면 배열 길이가 4처럼 보인다.
[ 'one', 'two', once: 'once', twice: 'twice' ]
하지만 실제로는 길이가 2인 배열이다. 왜 그럴까?
이유는 바로 자바스크립트 배열은 객체이기 때문이다.
🧠 핵심 개념: 배열은 객체다
자바스크립트의 배열은 Array라는 특별한 형태의 객체(Object)다.
객체이기 때문에 배열에 숫자 인덱스를 갖는 요소 외에도, 직접 속성(property)을 추가할 수 있다.
const arr = ['one', 'two'];
arr.once = 'once';
arr.twice = 'twice';
console.log(arr.length); // 2
이처럼 arr.once나 arr.twice는 배열의 요소가 아닌 객체의 속성이다.
📌 length는 무엇을 세는 걸까?
arr.length는 숫자 인덱스(0, 1, 2...)로 접근 가능한 요소의 개수를 의미한다.
즉, arr[0], arr[1]처럼 배열 요소로 들어간 값만 카운트한다.
항목length에 포함?
arr[0] = 'one' | ✅ 포함 |
arr[1] = 'two' | ✅ 포함 |
arr.once = 'once' | ❌ 불포함 |
arr.twice = 'twice' | ❌ 불포함 |
그래서 우리가 처음 본 이 코드:
[ 'one', 'two', once: 'once', twice: 'twice' ]
은 사실 아래 코드와 동일하고,
const arr = ['one', 'two'];
arr.once = 'once';
arr.twice = 'twice';
length는 2가 되는 것이다.
✅ 마무리 인사이트
- 배열은 사실 객체라서 속성(property)을 추가할 수 있다.
- 하지만 length는 숫자 인덱스 요소만 센다는 점을 기억하자.
- 이런 개념을 알고 있으면 디버깅이나 로직 구현 중 헷갈릴 일이 줄어든다!
'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Script] 변수와 배열 값 바꾸기 – swap (0) | 2025.04.07 |
---|---|
[JavaScript] 문자열 길이 기준으로 정렬하기 - sort (0) | 2025.04.07 |
즉시실행 함수 IIFE (0) | 2022.04.07 |
[JavaScript] append()와 appendChild()의 차이 (0) | 2022.03.04 |
[Javascript] <form>, <input> 동적 생성 (0) | 2022.03.03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TAG
- 정처기
- 완료 상태
- 트랜잭션 제어
- 정보처리기사실기암기
- 정보처리기사
- 실패 상태
- 정보처리기사암기
- 제어문자
- IPv6
- 활동 상태
- c++
- 백준
- 공유 클라우드
- 클라우딩 컴퓨팅
- IPv4와 IPv6 특징
- javascript
- 개발팁
- 서식문자
- Java
- 배열조작
- 철회 상태
- 부분 완료 상태
- SELECT 명령문
- 트랜잭션
- 정처기실기
- 트랜잭션의 상태
- 프로토콜의 기본요소
- 정보처라기사암기
- 정보처리기사실기
- 코딩테스트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